메뉴 메뉴
닫기
검색
 

대학

제 734 호 2024 학술 정보관 콘텐츠 스토리 개최

  • 작성일 2024-06-02
  • 좋아요 Like 0
  • 조회수 799
김현지

2024 학술 정보관 콘텐츠 스토리 개최


매년 우리 대학 학술 정보관에서 열리는 중요한 행사가 있다. 학술정보관 콘텐츠 스토리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올해도 마찬가지로 5월 7일 화요일부터 5월 8일 수요일까지 이틀간 서울캠퍼스 학술 정보관 1층 로비에서 2024 콘텐츠 스토리 행사가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는 상명대학교 학생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학술 정보관에서 제공하는 학술 DB, e-Book, e-Learning 등을 학생들에게 소개하기 위해 열렸다.


▲콘텐츠 스토리 행사 홍보 포스터 (사진출처: 상명대학교 학술정보관 공식홈페이지 https://lib.smu.ac.kr/Board/Detail/20240502114156825?n=notice&p=1)




전통지류 도서와 e-contents 조합으로 새로운 학술정보 경험 제공


이번 행사의 취지는 최근 학생들 사이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전통지류 도서와 e-contents의 조합을 통해 이를 가장 가깝게 확인하고 체험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이다. 이 행사에는 총 400명의 학생이 참가했으며 코로나19가 유행하던 20년부터 22년까지도 비대면으로 진행되었지만, 작년부터 행사의 취지와 학생들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대면으로 진행되고 있다. 


학생들은 학술정보관 로비에서 소통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었고 학생들의 만족도도 높게 나타나 대학도서관의 특성이 잘 담긴 행사가 되었다. 과거의 도서관은 한정적인 자료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이었다면 지금은 기술 발전을 통해 다양한 e-contents를 즐길 수 있는 장소가 되었다. 그래서 우리 대학은 학생들이 책뿐만 아니라 전자저널(OTT 플랫폼, e-book, 오디오북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 중심에 있는 콘텐츠 스토리는 매년 개최될 것이다.



전자 저널의 활용방안 학습 및 풍성한 경품 제공


이날 행사에는 e-contents와 관련된 다양한 업체 중 교보문고 논문 사이트 스콜라와 비롯하여 DBpia, EBSco 등 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주요 전자 저널 업체들이 대거 참여했다. 학생들은 이번 행사에서 각 업체의 전자저널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배우며, 콘텐츠 스토리 활동을 통해 실질적인 체험의 기회를 가졌다.


특히 이번 행사는 다양한 경품들이 마련되어 학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콘텐츠 스토리는 준비된 다양한 부스를 체험하면 그에 맞는 경품을 지급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행사는 이틀에 나눠 진행되었기 때문에 일자별로 3개의 부스에 참여하면 과자, 8개의 부스에 참여하면 추첨을 통해 커피 쿠폰이나 문화 상품권을 받을 수 있었다. 가장 큰 관심을 끈 것은 양일 14개의 부스에 방문한 학생들에게 추첨을 통해 지급된 애플 워치, 갤럭시 버즈, 블루투스 스피커, 헤드셋 등의 푸짐한 경품이었다. 이러한 경품들이 학생들의 행사 참여를 더욱 즐겁고 적극적이게 만들었다. 



언제나 우리 곁에 있는 학술 정보관


학술 정보관에서 개최한 이번 콘텐츠 스토리 행사는 학우들의 뜨거운 반응을 불러일으키며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우리 학교 학술 정보관은 이번 콘텐츠 스토리 행사에서 소개된 8개의 업체 외에도 OTT 서비스인 ‘웨이브’와 인터넷 서점인 ‘알라딘’ 등 다양한 업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학우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콘텐츠 스토리 행사를 비롯하여 매년 독서 퀴즈 대회, 고사 기간 간식 나눔 행사, 포토 에세이 공모전, 북 나눔 행사 등 학생들에게 유익한 다양한 이벤트를 개최하고 있다.


학술 정보관은 단순히 도서를 빌릴 수 있는 도서관의 역할 뿐만 아니라, 열람실과 리딩 라운지, 그룹 스터디 룸과 같은 학습 공간을 제공하고, 학술 DB 등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학우들의 학업 성취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늘 학우들의 곁에서 단단한 버팀목이 되어주는 우리 대학의 학술 정보관에 대한 학우들의 많은 관심과 이용을 부탁한다.



김현지 기자박리브 수습기자